국가인권위원회 진정접수, 신청방법 여기서 정리

 

차별이나 인권침해를 당했을 때, 어디에 도움을 요청해야 할지 막막하신 분들 많으시죠? 그럴 때 가장 먼저 떠올려야 할 기관이 바로 국가인권위원회입니다.

 

저도 예전에 직장에서 부당한 대우를 받은 적이 있었는데, 고민 끝에 인권위에 진정을 넣고 정식 조사와 시정 권고까지 받았던 경험이 있어요. 처음엔 어렵게 느껴졌지만, 막상 해보면 생각보다 간단하고 빠릅니다.이 글에서는 국가인권위원회 진정 방법, 접수처, 진행 절차까지 싹 정리해드릴게요.

진정 접수 방법

진정 접수는 온라인, 우편, 팩스, 방문 등 다양한 방법으로 가능합니다.

 

1. 온라인 접수

 

2. 우편 접수: 서울시 중구 삼일대로 340 나라키움저동빌딩 10~14층 국가인권위원회

3. 팩스 접수: FAX: 02-2125-9830

4. 방문 접수: 전국 국가인권위원회 본부 및 지방사무소에서 가능, 서울, 부산, 광주, 대구, 대전 등에서 직접 접수 가능

 

✅ 필요한 서류

  • 진정서 (자유 형식 가능, 홈페이지 양식도 있음)
  • 증거자료 (사진, 녹취, 문자, 메일 등 가능하면 함께 제출)
  • 진정인의 인적사항 (이름, 연락처 등)

진정 처리 절차

  1. 접수 → 접수 확인 문자 또는 메일 발송
  2. 사전 조사 (필요 시 피해자/피진정인 조사)
  3. 조사 후 결정 (기각, 기소권고, 시정권고 등)
  4. 결정 내용 통지 및 이행 여부 확인

조사와 결과 통지까지는 보통 1~6개월 정도 소요됩니다. 사안에 따라 신속하게 진행되는 경우도 있고, 복잡한 사안은 더 길어질 수도 있어요.

진정이란?

인권침해나 차별행위를 겪었거나 목격했을 때 이를 신고하는 절차입니다. 자신이 직접 피해자일 수도 있고, 제3자로서 진정을 제기하는 것도 가능합니다.

  • 직장에서 성희롱이나 성차별을 당한 경우
  • 학교에서 장애인 학생이 차별을 당한 경우
  • 공공기관에서 출신지역, 나이, 성별 등을 이유로 불이익을 받은 경우
  • 경찰 등 공권력 기관에서 부당한 대우를 받았을 경우

주의사항

  • 형사 사건이나 민사 소송과 병행 중일 경우, 중복 처리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 익명 진정도 가능하지만, 조사 및 연락에 제약이 생길 수 있습니다.
  • 고의적 허위 사실 제출 시 불이익을 받을 수 있습니다.
  • 국가인권위원회 상담센터: 전화 1331 (전국 어디서나 가능)
  • 상담시간: 평일 오전 9시 ~ 오후 6시

이 번호는 저도 실제로 이용해봤는데, 굉장히 친절하게 설명해주셔서 힘이 됐어요.

  • 네이버 블로그 공유
  • 네이버 밴드 공유
  • 페이스북 공유
  • 카카오스토리 공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