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관세 생존주 TOP3 골라봤습니다. 관련주, 대장주, 수혜주 다 여기 모여!!

 

미국과 중국이 다시 한 번 관세 전쟁을 시작했습니다. 2025년 5월 기준, 미국은 중국산 전기차, 배터리, 태양광, 철강 등 주요 산업에 대해 최대 100%에 달하는 고율 관세를 부과하기로 하며 무역 긴장이 고조되고 있죠.

 

💸미국은 관세전쟁으로 인해 스테그플레이션으로 돌입할 가능성도 높아졌어요. 워렌버핏은 죄다 팔고 있고요. 미국 나스닥 인버스ETF도 슬슬 알아봐야겠죠?

 

미국 나스닥 인버스 2배, 3배, ETF종류와 수수료, 특징 총 정리

요즘 미국 증시가 심상치 않습니다. 트럼프는 미국 경기 대공황을 말하는가 하면 주요 투자사들이 미국 주식 폭락을 언급하고 있고, 워렌버핏은 미국 주식을 모조리 팔아서 현금을 보유하고 있

eyesofkorean.com

 

이런 위기 속에서도 꿋꿋하게 버텨내는 기업들이 있습니다. 어떤 기업은 오히려 이런 상황을 기회로 바꿔서 주가 상승의 발판으로 삼기도 했고요. 오늘은 관세 전쟁에서 살아남는 미국 생존주 3종목을 정리해드릴게요. 자세한 내용 본문에서 시작합니다.

💊관세 전쟁 생존주 바로가기

관세 전쟁이 기업에 주는 영향

간단하게 설명하면, 관세가 올라가면 해외에서 들여오는 제품의 가격 경쟁력이 떨어지고, 국내 제조업체가 반사이익을 보게 됩니다. 즉, 수입 의존도가 높은 기업은 타격을 받지만, 국내 생산 중심이거나 중국 의존도가 낮은 기업은 기회를 맞게 되죠.

따라서 ‘생존주’를 고를 때 가장 중요하게 보는 포인트는 다음과 같아요.

  • 공급망이 미국 내 또는 중국 외 지역에 분산돼 있는가?
  • 중국의 반격에도 불구하고 내수 시장 비중이 높은가?
  • 기술력이나 독점력으로 가격 전가가 가능한가?

미국 관세 생존주 TOP 3

1. 텍사스 인스트루먼트 (Texas Instruments, $TXN)

 

✅ 대표 키워드: 반도체, 내수 기반, 미국 내 생산라인

미국의 대표적인 반도체 기업이자 아날로그 반도체 부문의 강자입니다. 중국 수출 비중이 줄어들고 있음에도 미국 및 유럽 자동차·산업 장비 제조업체 중심으로 매출이 확대되고 있어요.

 

특히 텍사스와 유타주에 자체 반도체 생산 시설을 보유하고 있어 공급망 안정성이 뛰어납니다. 중국에 의존하지 않기 때문에 이번 관세 전쟁에서도 큰 피해 없이 오히려 타 경쟁사의 공백을 채우는 기회가 될 수 있어요.

 

✅ 왜 생존주인가?

  • 중국 내 생산비중 낮음 → 리스크 적음
  • 공장 자동화·전기차 수요 증가로 실적 방어력 강함
  • 미국 제조업 리쇼어링 수혜 가능성

 

2. 애머슨 일렉트릭 (Emerson Electric, $EMR)

 

✅ 대표 키워드: 자동화 솔루션, 인더스트리얼 IoT, 공급망 다변화

산업용 자동화, 공정제어 분야의 세계적인 강자. 애머슨은 미중 갈등이 본격화된 이후 공급망을 인도·베트남 등으로 분산하며 발 빠르게 대응해왔어요. 미국 내에서도 다양한 플랜트를 운영하고 있어 관세 충격을 최소화할 수 있는 구조입니다.

또한 자동화 기술 수요는 팬데믹 이후 기업들의 ‘비용절감과 효율화’ 전략과 맞물려 오히려 수요가 더 늘어나고 있는 상황입니다.

 

✅ 왜 생존주인가?

  • 중국 수출 비중 10% 이하
  • 제조 기반이 북미·동남아 위주로 이동 완료
  • 산업 자동화 트렌드 수혜 + 방어주 성격

 

3. 캐터필러 (Caterpillar, $CAT)

 

✅ 대표 키워드: 건설·광산장비, 인프라 투자 수혜주, 북미 중심

‘노란색 중장비’로 유명한 캐터필러는 미국 정부의 인프라 투자 확대 정책의 대표 수혜주입니다. 특히 조 바이든 정부는 중국산 철강과 알루미늄에 대한 고율 관세를 도입하며 국내 생산 중심의 인프라 건설을 독려하고 있어요.

캐터필러는 미국 내 생산 비중이 높고, 글로벌 네트워크도 중국이 아닌 브라질, 인도, 유럽 등으로 분산돼 있어 이번 관세 이슈에서 오히려 경쟁 우위를 확보하고 있습니다.

 

✅ 왜 생존주인가?

  • 미국 인프라 투자 확대에 따른 수요 증가
  • 생산기지 분산 + 부품 내재화율 상승
  • 고가 장비로 가격 전가가 용이함

정리하며

이번 미중 관세전쟁은 단순한 관세 인상이 아니라, 글로벌 공급망을 재편하는 대전환기로 볼 수 있습니다. 이런 흐름 속에서 진짜 기회를 잡는 종목은 일시적인 이슈에 흔들리는 기업이 아니라, 기초 체력이 탄탄하고 공급망 전략을 이미 바꿔온 기업들이에요.

 

오늘 소개해드린 TXN, EMR, CAT는 모두 ‘제조-공급-판매’의 미국 내 자립 구조를 갖추고 있으며, 장기적인 투자에서도 안정성과 성장성을 동시에 갖춘 종목들이라고 생각해요. 저도 개인적으로는 이 중 2종목을 장기 포트폴리오에 담아두고 있습니다.

 

앞으로 관세 관련 뉴스가 계속해서 나올 텐데요. 그럴수록 단기 급등보다는 이런 ‘생존력 있는 우량주’ 중심의 포트 구성, 꼭 추천드리고 싶어요. 이상으로 글 마치겠습니다. 모두 좋은 하루 되세요^^

  • 네이버 블로그 공유
  • 네이버 밴드 공유
  • 페이스북 공유
  • 카카오스토리 공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