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도 처음에는 비트코인이나 이더리움처럼 변동성이 큰 자산만 사용했는데요, 수수료 지불이나 자산 보관 목적으론 달러 연동 스테이블 코인이 훨씬 유용하다는 걸 직접 써보면서 체감했어요. 최근에는 도람뿌 형님이 스테이블 코인을 밀어준다고 하죠? 중국을 견제하기 위해서요. 이번 글에서는 가장 많이 사용되는 달러 스테이블 코인들을 정리하고, 각 코인의 특장점까지 깔끔하게 정리해드릴게요.
✅자세한 이야기는 본문에서 할게요!
스테이블 코인이란?
스테이블 코인은 실물 자산(주로 미국 달러)이나 알고리즘 등을 기반으로 가치를 일정하게 유지하는 암호화폐예요. 변동성이 큰 일반 코인들과 달리 가격이 1달러에 고정되어 있어 결제, 송금, 자산 이동 등에 활용도가 매우 높아요.
특히 크립토를 처음 접하시는 분들도 스테이블 코인만큼은 꼭 알고 계시는 걸 추천해요. 디지털 세상에서 '디지털 달러' 역할을 하기 때문이죠.
대표적인 달러 스테이블 코인 종류
- USDT (Tether) 가장 오래되고 많이 사용되는 스테이블 코인. 발행사인 테더사가 달러 준비금을 보유하고 있다고 주장. 다양한 블록체인에서 사용 가능.
- USDC (USD Coin) 미국 서클(Circle)과 코인베이스가 공동 운영. 미국 규제 친화적인 이미지로 신뢰도가 높음. 감사를 통한 투명성 제공.
- BUSD (Binance USD) 바이낸스와 Paxos가 공동 발행. NYDFS 승인까지 받았지만 현재는 신규 발행이 중단되어 점차 사용량 감소 중.
- DAI 담보 기반 탈중앙 스테이블 코인. 스마트 컨트랙트를 통해 발행되며, 이더리움 등의 자산을 담보로 삼음. 탈중앙화 측면에서 인기 많음.
- FRAX 알고리즘과 담보가 혼합된 하이브리드 스테이블 코인. 부분 준비금 시스템을 도입해 효율성과 안정성의 균형을 추구함.
- TUSD (TrueUSD) 미국 회계 감사를 받은 준비금 기반 스테이블 코인. 최근 트론 및 바이낸스 체인에서도 활용도가 올라가고 있음.
스테이블 코인, 어떤 기준으로 선택해야 할까?
제가 실제로 사용해본 입장에서, 스테이블 코인을 선택할 땐 이 기준들을 꼭 확인하시는 걸 추천드려요.
- 투명성: 감사를 받는지, 준비금이 실제로 존재하는지
- 탈중앙성: 기업 중심인지, 혹은 DAO 기반인지
- 호환성: 내가 사용하는 지갑이나 거래소에서 쓸 수 있는지
- 규제 안정성: 미국이나 주요 국가의 규제에 어느 정도 부합하는지
예를 들어 저는 거래소에서 거래할 땐 USDT를 주로 쓰고, 디파이에서 이자를 받을 때는 DAI를 이용해요. 각각의 용도에 맞춰 스테이블 코인을 나눠서 쓰는 것도 하나의 전략이에요.
앞으로의 스테이블 코인, 전망
2025년 현재, 많은 국가가 스테이블 코인 규제를 본격화하고 있고, 미국에서도 관련 법안이 활발히 논의 중이에요. 앞으로는 단순히 “달러에 1:1로 묶였냐”뿐 아니라, 어느 회사가 발행했는지, 얼마나 투명한지, 어떤 체인에서 쓰이는지가 더 중요해질 것 같아요.
저는 개인적으로 USDC와 DAI를 가장 자주 사용하고 있어요. 투명성과 탈중앙성이라는 점에서 더 안정적이고 믿을 수 있거든요. 물론 다양한 코인을 써보면서 자신에게 맞는 걸 찾는 것도 좋은 방법이에요!
디지털 자산 시대에 꼭 알아야 할 달러 스테이블 코인, 오늘 정리한 내용이 여러분의 투자와 사용에 도움이 되길 바랍니다.
'경제 인사이트'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국민연금계산기, 국민연금 개혁 이후 내가 받을 돈 계산해봤습니다. (0) | 2025.03.31 |
---|---|
국민연금 소득대체율 계산기, 소득대체율 뜻과 의미 여기서 정리했어요. (1) | 2025.03.31 |
일본 금리 인상과 앤케리 청산 관계 정리, 어떤 영향을 주고 받는걸까? (0) | 2025.03.27 |
일본 앤캐리 청산 관련주TOP3 총 정리, 주식 블로거의 인사이트 알려줌 (0) | 2025.03.27 |
일본 앤캐리 청산 뜻과 의미, 경제에 미치는 영향까지 한 번에 정리 (0) | 2025.03.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