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 투자 세금혜택 및 세금계산방법 여기서 총정리, 돈 벌었다면 어떻게?

 

요즘처럼 금값이 고공행진할 때, 금테크로 수익을 보는 분들이 늘어나고 있죠. 실제로 저도 1년 전에 금 시세가 온스당 1,800달러일 때 매수해서, 최근 2,400달러에 일부 매도해봤는데요. 그때 가장 궁금했던 게 바로 ‘세금, 얼마 내야 하지?’였습니다.

 

✅여러분 중에 바보같이 현물이나 금통장으로 투자하는 분 있는데 그러지 마세요. 멍청한 짓입니다. 왜 세금을 나라한테 갔다 바칩니까? KRX금시장에서 거래하면 세금도 없습니다 ㅡㅡ;; 제 아래 다른 글 참고하세요.

 

가장 좋은 금 투자하는 방법 3가지 정리, 이 글에서 모두 종결

금에 투자하는 방법 3가지 +@ 노하우이 방법 모르면 세금 뗗입니다. 피같은 내돈금ETF는 절대 하지 말아야 하는 이유, 그러나 반전은? 최근 금 가격이 엄청나게 오르면서 금 투자에 관심 가지는

eyesofkorean.com

 

 

금은 실물자산이면서 동시에 금융자산의 성격도 있어서, 어떻게 투자했느냐에 따라 세금 계산법이 완전히 달라집니다. 오늘은 그걸 딱! 정리해드릴게요.

금 투자 시 세금이 발생하는 경우

금 투자 수익에 대한 세금은 다음 기준에 따라 다르게 계산됩니다.

 

1. 실물 금(금은방, 한국금거래소 등)으로 투자했을 경우

실물 금을 사고 팔 때는, 매도 시점에 일정 조건을 충족하면 양도소득세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중량 5g 이상의 골드바나 주괴(순도 99.5% 이상)를 매도했을 때
  • 국세청에 실명신고되는 공식 유통망(예: 한국금거래소, KRX금시장 외)에서 거래한 경우

이때 부과되는 세금은 다음과 같습니다.

  • 양도차익의 10% + 지방소득세 1% → 총 11% 과세
  • 예: 금 매입가 800만 원 → 매도가 1,000만 원 → 차익 200만 원 → 세금 약 22만 원

중요 포인트! 중고나라, 개인 간 거래처럼 비공식 유통망에서 팔았다면 실질 과세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지만, 국세청 추적은 가능하므로 주의가 필요합니다.

 

2. KRX 금시장(한국거래소 금 현물시장)에서 거래한 경우

KRX 금시장에서 매매하면 양도소득세도 면제되고, 부가가치세도 없음이라는 큰 장점이 있어요. 세제혜택이 워낙 좋아서 정부에서도 금 거래를 KRX로 유도하고 있는 상황이죠.

  • 양도소득세 0%
  • 거래세, 수수료만 부담 (약 0.3% 내외)
  • 단, 실물 인출 시에는 부가가치세(10%) 발생

💸 즉, 수익이 나도 세금 없음! 전자지갑 내에서 거래만 한다면 말이죠.

 

 

3. 골드 뱅킹으로 금에 투자한 경우

은행(예: 국민, 신한, 하나 등)에서 운영하는 ‘골드뱅킹’은 금 가격에 연동된 예금 형태의 투자 상품입니다. 이 경우는 금이 아니라 통화처럼 간주되어, 아래와 같이 세금이 부과됩니다.

  • 매매차익의 15.4% 금융소득세 (이자소득으로 분류)
  • 연간 금융소득(예금이자+펀드+골드뱅킹 수익)이 2천만 원 초과 시 → 종합과세 대상

즉, 안전하게 금 가격을 따라가긴 하지만 세제 혜택은 거의 없다는 점이 단점입니다.

 

4. 금 ETF, 금 선물, 금 관련 펀드 투자 시

이건 금 실물이 아니라 금 가격에 연동된 금융 상품이므로, 파생상품 양도소득세 또는 펀드 과세로 분류됩니다.

  • 국내 금 ETF: 매매차익 비과세 (단, 배당은 15.4% 이자소득세)
  • 해외 금 ETF: 양도차익 22%(양도소득세 20% + 지방소득세 2%)
  • 금 선물 ETF: 파생상품 양도세 11% 부과

정리하면, 금 ETF도 어디 상장됐느냐에 따라 세금이 달라진다는 점, 꼭 기억하세요.

금 투자 세금 정리표

투자 방식 세금 종류 과세 여부
실물 금(금은방, 한국금거래소) 양도소득세 차익의 11%
KRX 금시장 없음 비과세
골드뱅킹 이자소득세 15.40%
국내 금 ETF 배당소득세 15.40%
해외 금 ETF 양도소득세 22%
금 선물 ETF 파생상품 양도세 11%

 

  • 실물 금 거래보다 KRX 금시장 활용: 수수료도 낮고 세금도 없습니다.
  • 해외 금 ETF는 필요시 매도 시점 분할: 양도세 부담 분산
  • 금 수익 250만 원 초과 시, 기타소득으로 분리과세 가능성 고려

금 투자도 결국 수익을 내면 국세청은 알고 있습니다. 요즘은 카드 결제 내역, 매도 기록 등으로 추적도 가능하니, 무조건 비과세라 믿기보다는 정확한 투자 경로에 따른 세금 계산을 알고 있어야 해요.

 

저도 지금은 실물 대신 KRX 금시장+국내 금 ETF 조합으로 투자하고 있는데요. 안전하면서도 세금에 민감하지 않아 편하더라고요.

금테크로 수익 나셨다면, 이번 글 참고하셔서 세금 걱정 없이 똑똑하게 정리해보세요! 바보같이 금통장으로 투자해서 세금내는 일 없도록 조심해요 우리 ^^

금 투자 세금 FAQ

Q. 금을 팔아서 수익이 생기면 무조건 세금 내야 하나요?

투자 방식에 따라 다릅니다. 실물 금은 양도차익에 대해 11% 세금이 부과되며, KRX 금시장은 세금이 없습니다. 골드뱅킹은 15.4% 이자소득세가 부과됩니다.

Q. 금을 사고 KRX 금시장에 팔면 세금이 없나요?

네, KRX 금시장에서의 매매는 양도소득세가 면제되며, 실물 인출만 하지 않는다면 부가가치세도 발생하지 않습니다.

Q. 금 투자 수익에 대한 세금은 신고해야 하나요?

과세 대상이 되는 방식(예: 실물 금, 골드뱅킹, 해외 금 ETF)으로 수익을 얻은 경우, 다음 해 5월 종합소득세 신고 또는 기타소득 신고를 통해 자진신고해야 합니다.

  • 네이버 블로그 공유
  • 네이버 밴드 공유
  • 페이스북 공유
  • 카카오스토리 공유